맨 인 더 복슬 / Man in the Voxel
Light Installation
The discussion of post-humanism is not new. During the pandemic, we naturally experienced and became aware of the virtual world in advance. Now, as we naturally contemplate life in the metaverse, I begin to imagine: What will future humans look like? Recently, we have been generating digital humans and attempting to connect them to humans (ourselves) in the real world. While working on this, a question arose: "Do digital humans have to exist only in the virtual world?" If not, how should they exist in the real world? Should they take on a new form of material? If so, what relationship would they have with our physical bodies and the newly created form? In other words, how will future humans, who are a replica of myself, perceive themselves? This raises important questions.
포스트 휴먼에 대한 논의는 오래된 이야기이다. 우리는 펜데믹을 겪으면서 자연스럽게 가상세계에 대해 미리 경험하고 인지하였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메타공간의 삶에 대해 고민하는 지금, 미래인간은 어떤 모습일까? 라는 상상을 해본다. 최근까지 디지털 휴먼을 생성해 내고 그것을 통해 현실세계 속 인간(나)와 연결하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작업을 하다가 궁금증이 하나 생겼다. “디지털 휴먼은 꼭 가상세계 속에만 존재해야 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면 현실세계 속에서는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 것일까?, 새로운 형태의 물질이 되어야 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자신의 신체와 새롭게 만들어 진 형태의 신체는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일까? 즉, 나를 복제한 미래 인간은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Chanwook Min, 2024, Light installation
3 pieces(40x40x40cm + wire/control box, 55x55x55cm + wire/control box, 70x70x70cm + wire/control box)
Soorim Cube, Soorim Cultural Foundation, Seoul, South Korea, 2023